
호주에서 미국 주식 거래 하기
Stake 주식 거래 플랫폼 소개
한달 전 호주에서 미국 주식 거래를 위해 Stake라는 플랫폼 을 가입 했다. 처음엔 한국의 키움 증권사를 통해 비대면 주식 계좌 개설을 해볼까 했다가 역시 우리 같은 재외국민은 가입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여기저기 검색해서 정보를 얻은 결과 Stake로 결정 했다. 보통 다른 주식 거래 플랫폼은 $500 미만 거래가 안되는것이 많던데 Stake 경우 최소 거래액이 $50이고 올해까지 주식을 사고 팔때 중개 수수료 (brokerage fee) 가 없어서 나같은 초보 주식 투자자들을 위해 정말 괜찮은 주식 거래 플랫폼이 아닌가 싶다.
가입 방법은 간단히 휴대폰 앱을 통해 가능한데 그냥 가입하지 말고 추천인 링크를 통해서 가입시 무료 주식 1주를 받을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길.
https://m.blog.naver.com/glara1982/222272563197
[낭만재테크] 호주에서 미국 주식 입문
호주에서 미국 주식 입문 Stake 플랫폼 아줌마가 되고 진짜 장보러 다니는게 일상이 됐다 했더니 이젠 하...
blog.naver.com
👉 가입링크
https://hellostake.com/referral-program?referrer=kiyoungk763
또는 추천인 코드를 넣어도 free stock 을 받을수 있다.
👉 추천인 코드 referral code : KIYOUNGK763

가입 후 24시간 안에 최소 거래액인 $50이상 Stake 계좌로 송금하여 추첨을 통해 GoPro, Dropbox, Nike 중 하나의 주식 1주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Stake 계좌로 돈을 보내는 방법은 POLi payments 를 이용하여 본인 예금 계좌 정보를 등록후 출금 할 수 있다.
POLi Payments란?
Australia Post의 온라인 결제회사이며 본인의 인터넷뱅킹 정보로 계좌 송금을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1. Stake 메인 화면에서 Funds & Balances 를 클릭

2. Add Funds 를 클릭

3. 송금 스피드는 두가지 옵션이 있다
Expree vs Regular
Express 송금은 빠른 송금대신 Espress fee 수수료가 붙고 거기에 환전 수수료가 있다.
Regular 송금은 수수료는 없고 환전 수수료 FX fee (Foreign transaction fee) 만 있다.
$500 Regular 환전시 수수료 $5.50 정도 였다.
이렇게 본인 계좌에서 송금한 호주 달러가 미국 달러로 Stake 계좌로 도착하면 이때부터 우린 미국 뉴욕 증시 오픈 시간에 맞춰 주식을 사고 팔수 있다.
참고로 뉴욕증시 개장 시간은 호주 시간 오후 10시반 ~ 새벽 5시까지이고 꼭 그 시간에 깨어 있지 않아도 미리 주식 구입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주식 구입 옵션은 3가지로
아래처럼 Order type으로
Limit buy, Market buy, stop buy 세가지가 있다.
▪︎Market buy: 현재가로 주문
매수 주문시 (주식 구입)
▪︎Limit buy: 현재가 보다 낮은 가격에 주문
▪︎Stop buy: 현재가 보다 높은 가격에 주문
반대로 매도 주문시 (주식을 팔때)
▪︎Limit buy: 현재가 보다 높은 가격에 주문
▪︎Stop buy: 현재가 보다 낮은 가격에 주문

아직 초보라 뭐가 뭔지 잘 모르겠지만 얼마전 쿠팡 주식이 한주에 50불 정도 했는데 1주 49.5로 Limit 걸어두고 잤더니 다음날 매수가 이루어 졌다고 메일이 왔다.
현재로써 Stake 앱을 통해 미국 주식 거래시 사고 팔때 드는 중개 수수료가 없고 최소 거래 금액이 $50부터 가능하고 또 주식 한 주를 다 안사도 소수점 단위로 구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앗, 하나 더.
W-8 BEN Form 자동 생성.
W-8 BEN이란?
미국인이 아닌 외국인이 미국에서 투자나, 경제활동, 이자, 배당금등의 소득이 발생할 경우 미국 세법에 의해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30% 세금을 내야 하는데 미국과 조세 협정을 한 국가의 국민들이 W-8 BEN Form 을 작성하면 세금 면제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다.
세금면제라니 당연히 이 폼을 작성해서 제출해야 하는데 Stake 거래시 첫 주식 거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W-8 BEN Form이 작성되어 제출된다. 땡큐!
첫거래 후 내 Account 정보에서 US Tax Form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W-8 BEN Form 이 자동 생성되어 있고 다운로드를 클릭해서 볼 수 있다.

주린이라 Stake 앱의 단점은 아직 잘 모르겠지만 여기저기 검색해본 바로 Stake 플랫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도 나쁘지 않아 다행. 어쨋든 호주도 점점 한국처럼 주식 거래 수수료 무료가 많아 졌음 좋겠다는 생각.
미국주식에 쌈짓돈을 한달 정도 투자해 보니 주가란게 하루가 다르고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 하더라. 나야 뭐 워낙 소액 투자라 올랐다고 한들 그걸 팔아서 큰 수익을 남길 수 있는게 아니라 그냥 장기전으로 길게 조금씩 우량주 주식에 투자해 볼 생각이다. 최소 일년은 그냥 우량주에 투자해 보고 1년 후 7대 3 비중으로 3은 단타를 노려볼까 한다. 주식에 완전 생초보인 내가 그래도 두달 내내 주식 공부를 했더니 아주 기본적은 용어는 슬슬 귀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재미있군. 앞으로 1년 후 나의 주식 성과가 어떨지 나도 궁금하군. 그럼 초보 주식투자들 우리 모두 화이팅 합시다. 또 만나요, See yaa 👋
'한량 아줌마 오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에서 주식, 4개월 후기 (1) | 2021.06.05 |
---|---|
Selfwealth로 호주에서 ETF 주식 입문 (2) | 2021.04.07 |
한량 아줌마 호주 주식 입문기 (1) | 2021.03.17 |
한량 아줌마 호주 재테크 (0) | 2021.03.13 |
햇병아리 아줌마 블로거의 네이버 애드포스트 신청, 승인 그리고 수익공개 (0) | 202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