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F-8"> 모유수유 아기 생우유 먹이는 시기
본문 바로가기

카라타 사막에서 피는 꽃

모유수유 아기 생우유 먹이는 시기

반응형

다음주면 11개월이 되는 아기김츠는
체중: 10kg, 키: 73cm

태어나 지금까지 딱 두번 50ml 가량의 분유를 두번 섭취한것 말고는 100% 엄마의 모유만 먹고 크고 있다.

5개월 3주차: 첫 이유식 시작
하루 50g, 1회 섭취 + 모유수유
5개월 4주차: 하루 50g, 2회 섭취 + 모유수유

6개월: 하루 50g, 3회 섭취 + 모유수유
7개월: 하루 80g~100g, 3회 섭취 / 간식 1회 + 모유수유
곧 11개월인 요즘: 100~120g, 3회 / 간식 2회 + 모유수유

하루 3끼 이유식을 충분히 먹고 모유수유도 이유식 전후로 계속 하고 있는데 요즘 모유를 잘 먹지 않으려고 해서 생우유를 줘야하나 고민중이다. 모유수유는 당최 얼마를 먹는지 양을 알수가 없어 늘 부족하지 않은지 걱정하며 여기까지 왔다. 그래도 또래 발육상태에 맞게 크고 있는걸로 봐서 부족 했던건 아닌듯하다.

요즘들어 부쩍 모유를 많이 먹지 않아서 아무래도 생우유를 조금씩이라도 보충해 줘야하지 않을까 고민이 된다. 그렇다면 과연 모유슈유 아기 과연 생우유는 언제부터 먹이는것이 좋은가?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와 권위 있는 국제 기구들에서 권장하는 모유수유 기간은 두 돌까지 이다. 이 얘기는 너무 많이 들어서 나역시 모유수유 시작때 완모하기와 함께 두돌까지 먹이기로 결심 했었다.

분유수유아와는 달리 모유수유아는 돌이 되어도 생우유를 먹일 필요가 없다. 돌이 지나면 모유의 영양이 떨어질거라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때부터 모유는 영양섭취 보다는 간식 개념이며 여전히 면역를 돕고 엄마와의 애착관계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 어차피 돌이 지난 아기는 밥과 반찬이 주식으로 하루 세끼 골고루 잘 먹이는것이 중요하고 더불어 모유도 하루 400 ~ 500cc 먹이도록 한다.

정리하자면 모유수유,분유수유 상관없이 생우유는
** 돌 전 아기에겐 먹이지 않는 게 좋습니다 **
생우유 속에 든 단백질 성분을 소화할 수 없고 자칫 장 출혈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두유 속 단백질 역시
마찬가지이다. 단, 요구르트나 베이커리 제품에 든 우유는 괜찮다.)

** 돌 이후 분유수유아들은 하루에 우유를 두 컵 정도 먹이는 것을 권장 합니다 **


모유수유 아기
✔ 생후 ~ 6개월: 모유수유만
✔ 6개월부터 모유수유 + 이유식
아기의 월령에 맞는 굳기, 종류, 양과 질감의 이유식을 만들어 숟가락으로 먹이고 아기 스스로도 손이나 숟가락으로 먹게 한다.

✔ 12개월이 되면 일반식으로 하루 세 번 아침, 점심, 저녁 식사를 골고루 잘 먹이고 모유는 간식으로 낮에 2~3번(400~500cc)정도 먹인다 (손으로 짜서 컵으로 먹일 수도 있다)

✔ 두 돌까지 모유를 간식으로 먹이고

✔ 두 돌이 지나 젖을 끊게 되면 생우유를 컵으로 먹는 연습을 하여 간식으로 하루에 400~500cc 정도 우유를 먹인다. 이때 우유는 저지방, 무지방 우유가 아닌 지방 함량이 풍부한 생우유를 먹인다. 지방은 두뇌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이기 때문에 성장기 아기들에게 지방섭취를 제한하면 안된다

✔ 두돌이 지나면 1% 저지방 우유나 무지방 우유로 바꿔 먹인다. 이때부터는 지방 섭취를 관리해 줘야 한다.

✔ 만 5살이 되기 전에 완전히 1% 저지방 우유나 무지방 우유로 바꿔 먹인다.

출처 2019. 9. 17. 소아청소년과전문의, FABM, IBCLC 정유미

어쨋거나 두돌까지 모유수유를 한다면 굳이 생우유를 먹일 필요가 없고 단, 지금 나처럼 모유를 너무 적게 먹는다고 생각된다면 생우유를 먹일수는 있다. 이건 뭐 모유수유 엄마들의 선택.

그렇다면 엄마김츠의 선택은?
나는 현재로썬 완전 모유수유를 끊으면 그때 우유를 줄 생각이다. 물론 아기김츠가 모유를 너무 안먹으면 그땐 또 생각이 달라지겠지만.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반응형